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4889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예제 2의 경우에 (1, 3, 6), (2, 4, 5)로 팀을 나누면 되고, 예제 3의 경우에는 (1, 2, 4, 5), (3, 6, 7, 8)로 팀을 나누면 된다. www.acmicpc.net 코드 n = int(input()) graph = [list(map(int, input().split(" "))) for _ in range(n)] curMin = 10000000 check = [False] * n def recursive(index, count1, count2, sum1, sum2): global curMin if index == n: if count1 == count2: curMin = mi..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09 2309번: 일곱 난쟁이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www.acmicpc.net 코드 height = [int(input()) for _ in range(9)] total = sum(height) for i in range(9): for j in range(i+1, 9): if total - (height[i] + height[j]) == 100: h1, h2 = height[i], height[j] height.remove(h1) height.remove(h2) break if..

내용 항해99에 3번째주차로 이번주에도 알고리즘 문제풀이를 진행을 했다. 항해99에서 커리큘럼상으로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공부하는 마지막 주차이기 때문에 더욱 알고리즘 문제풀이에만 시간을 보냈던것 같다. 파이썬으로 알고리즘 문제를 푼지 이제 2주정도 됬는데 확실히 자바로 풀때에 비해서 속도가 올라가고 간편하게 푸는듯한 느낌을 받았고 지원되는 라이브러리도 많아서 앞으로 코딩테스트 언어를 파이썬으로 계속 풀 생각이다. 이번 알고리즘 주차에서는 옵션1(25문제)과 옵션2(35문제)로 나눠서 팀을 배정을 해주셨는데 나는 문제를 많이푸는게 좋을 것 같아서 옵션2로 신청을 했는데 후반으로 갈 수록 구글을 안보고는 손도 못댈 문제들이 있어서 많이 힘들었지만 유형을 많이 익혀야 한다고 생각해 다음 주 주특기 주차로 들어..

문제 www.acmicpc.net/problem/1992 1992번: 쿼드트리 첫째 줄에는 영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N 이 주어진다. N 은 언제나 2의 제곱수로 주어지며, 1 ≤ N ≤ 64의 범위를 가진다. 두 번째 줄부터는 길이 N의 문자열이 N개 들어온다. 각 문자열은 0 또 www.acmicpc.net 코드 n = int(input()) tree = [list(map(int,(input()))) for _ in range(n)] print(tree) result = [] def quad_tree(x,y,n): global result color = tree[x][y] for i in range(x, x+n): for j in range(y, y+n): if color != tree[i][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