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적 메서드 정적 메서드와 정적 필드만을 담은 클래스를 만들고 싶을 때가 있다. 하지만 생성자를 명시하지않으면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기본 생성자를 만들어준다. 즉, 매개변수를 받지 않는 public 생성자가 만들어지며, 사용자는 이 생성자가 자동 생선된 것인지 구분할 수 없게되어 불필요하게 정적 메서드를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구현하여 호출하게 된다. 추상클래스 사용 추상클래스로 만들어 인스턴스를 못만들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완전히 인스턴스화를 막을 수 없다. 왜냐하면 하위 클래스를 만들어 인스턴스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ivate 생성자 public class UtilityClass { private UtilityClass() { throw new AssertionError(); } }..
싱글턴이란? 싱글턴이란 인스턴스를 오직 하나만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말한다. 그런데 클래스를 싱글턴으로 만들면 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테스트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왜냐하면 타입을 인터페이스로 정의한 다음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만든 싱글턴이 아니라면 싱글턴 인스턴스를 가짜(mock) 구현으로 대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겠다. 1. private 생성자 + public static final 필드 public class Elvis { public static final Elvis INSTANCE = new Elvis(); private Elvis() { ... } public void leaveTheBuilding() { ... } } priva..
정적 팩터리와 생성자에 제약 정적 팩터리와 생성자에는 똑같은 제약이 하나있다. 선택적 매개변수가 많을때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매개변수가 20가지가 넘어가고 필수 매개변수와 선택 매개변수가 있을때 보통 점층적 생성자 패턴을 사용했었다. 점층적 생성자 패턴 필수 매개변수를 받는 생성자 1개, 그리고 선택 매개변수를 하나씩 늘려가며 생성자를 만드는 패턴 public class NutritionFacts { private final int servingSize; // 필수 private final int servings; // 필수 private final int calories; // 선택 private final int fat; // 선택 private final int sodium; // 선택..
정적 팩터리 메서드란? 정적 팩터리 메서드란 객체 생성의 역할을 하는 클래스 메서드이다.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boolean b) { return b ? Boolean.TRUE : Boolean.FALSE;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디자인패턴에서의 팩터리 메서드와 다르다. 디자인 패턴중에는 이와 일치하는 패턴은 없다. 정적팩터리 메서드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 자체만으로는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지만 정적 팩토리 메서드는 가능하다. 2. 호출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생성자는 호출할 때마다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지만 정적팩토리 메서드는 작성하는거에 따라 계속 새로 안만들 수 있다. 3. 반환 타입의 하위 타입 객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