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vs SpringBoot
스프링 vs 스프링부트
스프링(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프링은 DI, IOC를 통해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확장성을 가진 코드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이 제공해주는 기능들을 통해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트(Spring Boot)
스프링부트는 스프링을 더 쉽게 이용하기 위한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스프링을 사용할 때 이것저것 세팅을 해야 될 요소가 너무 많아 불편함이 있었는데 스프링부트는 매우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설정할 수 있게하여 스프링 개발을 조금 더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프링부트는 스프링에 어떤점이 개선된걸까?
- 의존성관리
- 자동설정
- 내장 WAS
1. 의존성 관리
기존 Spring은 개발에 필요한 모듈의 의존성을 각각 다운받아줘야 했으며, 각 모듈의 버전을 개발자가 하나하나 명시해줘야했다.
SpringBoot는 spring-boot-starter
를 통해 의존성 관리를 더 편리하게 해준다.
spring-boot-starter
는 프로젝트에 설정해야 할 다수의 의존성들을 starter가 이미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starter에 대한 의존성 추가 만으로도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spring-boot-starter-jpa
의존성을 추가했을 때 spring-aop
, spring-jdbc
등의 의존성이 이미 안에 선언되어 있다.
spring-boot-starter-jpa
안으로 들어가 보면 이미 여러 의존성들이 정의되어 있어 starter만 정의하여도 쉽게 하위 의존성들을 관리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의존성을 추가할 때 Spring에서는 버전을 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줬어야 했는데 SpringBoot는 버전을 명시할 필요없이 가장 적합한 버전을 설정해준다.
maven인 경우 의존성들을 부모 자식관계로 관리하기 때문에 spring-boot-stater-parent
를 통해 각 모듈의 현재 스프링부트 버전에 가장 적합한 버전을 제공해준다.
gradle인 경우는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플러그인을 통해 각 모듈의 현재 스프링부트 버전에 가장 적합한 버전을 제공해준다.
2. 자동설정
기존의 스프링은 환경설정이 복잡하고 많은 설정을 했어야 했는데(db연결할때 datasource 설정을 매번 직접 bean을 생성했어야 했다.) 스프링부트에서는 이러한 환경설정을 @SpringBootApplication을 통해 자동설정을 해준다.
@SpringBootApplication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안으로 들어가보면
위 그림과 같이 여러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
@SpringBootConfiguration
SpringBoot의 설정을 나타내는 어노테이션으로, Spring의 @Configuration을 대체한다.
@EnableAutoConfiguration
자동 설정의 핵심 어노테이션으로, 클래스 경로에 지정된 내용을 기반으로 설정 자동화를 수행한다.
@ComponentScan
basePackages 프로퍼티 값에 별도의 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면 해당 어노테이션이 위치한 패키지가 루트경로가 되어 빈으로 등록할 클래스들을 탐색한다.
SpringBoot에 bean 등록과정
SpringBoot는 Bean을 두 번에 걸쳐 등록한다.
- @ComponentScan
처음에는 Spring과 마찬가지로 Component-scan을 통해 component를 찾고 bean 생성을 진행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설정한 bean들이 생성된다.
- @EnableAutoConfiguration
그 후에는 @EnableAutoConfiguration으로 추가적인 Bean들을 읽어서 등록하게 된다. 메인 클래스(@SpringBootApplication)를 실행하면, @EnableAutoConfiguration에 의해 META-INF/spring.factories 안에 들어있는 수많은 자동 설정들이 조건에 따라 적용이 되어 수 많은 Bean들이 생성되고, 스프링 부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것이다.
즉, SpringBoot는 Component scan을 통해서 모은 component들의 정보와 META-INF/spring.factories 파일에 사전 정의한 auto-configuration 내용에 의해 bean 생성을 진행한다.
3. 내장 WAS
기존 Spring을 이용한 프로젝트는 war(Web application ARchive)파일로 배포할 수 있었다. war파일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압축해 저장해놓은 파일로, tomcat과 같은 was에서 돌아갈 수 있는 구조를 담고 있었다.
따라서 Spring으로 개발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웹어플리케이션이 압축된 war파일과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was가 필요했다.
war파일을 실행시킬 was를 직접 설정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SpringBoot는 Tomcat이나 Jetty같은 내장 서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r 파일로 배포할 수 있다. 따라서 SpringBoot로 개발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jar 파일만 필요하다.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
2017년까지만 해도 SpringBoot보다 Spring MVC의 비중이 더 높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SpringBoot 사용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pringBoot에 비중도 많이 높아지고 있고 현재 SpringBoot이 많은 편리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많은 사람들이 SpringBoot를 찾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위해 그보다 큰 WAS를 따로 설치하기엔 효율적이지 않다 이런경우 SpringBoot를 쓰는게 적당하고 규모가 큰 웹사이트에 경우 이런 구조로 만드는 것보단 SpringMVC 형태로 만들어 WAS에 배포하는 스타일이 더 좋다.
하지만 프로젝트에 규모적으로는 Spring과 SpringBoot를 고르는게 잘못됐다는 글들도 있어 정확히 어느것을 사용해야한다 이런 기준은 없는 것 같다.
SpringBoot을 언제써야할까? (3)외장 WAS 가 반드시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