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면접시 나올만한 질문
- 객체지향이란?
-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입니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
- 코드 재사용이 용이 => 남이 만든 클래스를 가져와서 사용가능
- 유지보수가 쉬움 =>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일일이 찾아 수정해야하는 반면에 해당하는 부분만 수정하면됨
-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 클래스 단위로 모듈화 시켜서 개발가능
- 객체 지향적 설계 원칙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단일 책임 원칙 클래스는 단 하나의 책임을 가져야 하며 클래스를 변경하는 이유는 단 하나의 이유이어야 한다.
- OCP(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리스코프 치환 원칙 상위 타입의 객체를 하위 타입의 객체로 치환해도 상위 타입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 ISP(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인터페이스는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를 기준으로 분리해야 한다.
- DIP(Dependency Inversion Prinsiple) : 의존 역전 원칙 고수준 모듈은 저수준 모듈의 구현에 의존해서는 안된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키워드
- 추상화 : 불필요한 정보는 숨기고 중요한 정보만을 표현함으로써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묶어 이름을 붙이는 것
- 캡슐화 : 기능과 특성의 모음을 "클래스"라는 "캡슐"에 넣어서 분류해서 넣는 이 캡슐화다.
- 상속 :상속은 부모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그대로 이어받아 사용할 수 있게하고 기능의 일부분을 변경해야 할 경우 상속받은 자식클래스에서 해당 기능만 다시 수정(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중 상속은 불가하다.
- 다형성 : 하나의 변수명, 함수명 등이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즉,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로딩(Overloading)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 오버라이딩 : 부모클래스의 메서드와 같은 이름, 매개변수를 재정의 하는 것.
-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함수를 여러 개 정의하고, 매개변수의 타입과 개수를 다르게 하여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게 호출할 수 있게 하는 것.
- 제네릭이 무엇인가요?
- 제네릭(Generic)은 클래스 내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 컬렉션 클래스에서 제네릭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세요
- 컬렉션 클래스에 저장되는 인스턴스 타입을 제한하여 런타임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모든 예외를 컴파일 타임에 잡아 낼 수 있어서 사용합니다.
- 데드락이 무엇이고, 해결방법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 둘 이상의 스레드가 lock을 획득하기 위해 기다리는데, 이 lock을 잡고 있는 스레드도 똑같이 다른 lock을 기다리면서 서로 블락상태에 놓이는 것을 말한다
- 우선순위를 선정해 자원을 선점하도록 하는 것과 공유 불가능한 상호 배제 조건을 제거하는 것이 있다.
- JVM이 하는 역할이 무엇인가요?
- 자바 컴파일러가 .java 파일을 컴파일 하면, .class라는 자바 바이트코드로 변환시켜줍니다. 이때 바이트 코드가 기계어가 아니기 때문에 운영체제에서 바로 실행을 못하는데 이때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해주는 것이 JVM입니다.
- 컴파일 -> 바이트 코드 -> 기계어 이런식으로 중간에 바이트 코드 과정이 있기 때문에 속도와 메모리에서 단점이 될 수 있다.
- JVM을 사용하면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스프링에서 AOP가 뭔가요?
- AOP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약자인데요 기존의 OOP에서 기능별로 클래스를 분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반복되는 중복코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실행시 비즈니스 로직의 앞과 뒤에서 원하는 지점에 해당 공통 관심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 스프링 DI에 대해 아는대로 말씀해주세요
- DI는 의존성 주입의 약자로, 객체들 간의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스프링의 IOC 컨테이너의 구체적 구현 방식을 말한다.
-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3가지가 있다.
- 개발코드 부분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주입만 담당하는 별도의 공간에서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 간의 의존성을 주입해 개발코드에서 가져다 쓰면서 의존성을 줄인다.
- IOC가 무엇인가요?
- IOC는 제어의 역전으로 인스턴스의 생성부터 소멸까지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가 대신 관리해주는 것을 말한다. (프레임워크)
- IOC 컨테이너는 DI를 통해 주입시킨다.
- 인스턴스의 생성의 제어를 서블릿과 같은 bean을 관리해주는 컨테이너가 관리합니다.
- Bean이란?
-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우리가 new 연산자로 어떤 객체를 생성했을 때 그 객체는 빈이 아니다.
- 즉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한 객체들을 '빈'이라고 한다.
- 스프링 필터랑 인터셉터의 차이점이 뭘까요
- 실행되는 시점에서 차이가 있다. 필터는 dispatcherServlet으로 요청이 가기전에 실행되고 인터셉터는 Controller로 요청이 가기전에 실행된다.
- 따라서 컨트롤러에 들어가기 전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호출되는 시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 Entity란
- Entity 클래스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1:1로 매핑되는 클래스로 DB의 테이블내에 존재하는 컬럼만을 속성으로 가져야한다.
- Setter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 엔티티를 작성할 때 Setter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객체(Entity)의 값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객체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없다.
- DTO와 VO 차이점
- VO는 DTO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read only 속성을 갖는다. VO는 특정한 비즈니스 값을 담는 객체이고, DTO는 Layer간의 통신 용도로 오고가는 객체를 말한다.
- Object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객체란, 소프트웨어 세계에 구현할 대상
- 클래스의 인스턴스 라고도 부른다. OOP 관점에서 클래스의 타입으로 선언되었을 때 객체라고 부른다.
- 객체는 현실 세계에 가깝고, 인스턴스는 소프트웨어 세계에 가깝다.
- 클래스
- 연관되어 있는 변수와 메서드의 집합
- 클래스란, 객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설계도 혹은 틀
- 인스턴스
- 객체를 소프트웨어에 실체화 하면 그것을 인스턴스 라고 부른다.
- OOP의 관점에서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 사용될 때 인스턴스 라고 부른다.
-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이다.
- 인스턴스화 된다라는게 무슨의미인가여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instantiate)라고 한다.
-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라고 한다.
-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첫번째 차이점은 String은 불변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수정을 하지못하고 새로운 String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전에 있던 String은 GC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 그래서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String 불변, StringBuffer, StringBuilder 가변)
- StringBuffer는 동기화 키워드를 지원하여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안전하다는 점(thread-safe) 입니다. 참고로 String도 불변성을 가지기때문에 마찬가지로 멀티쓰레드 환경에서의 안정성(thread-safe)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반대로 StringBuilder는 동기화를 지원하지 않기때문에 멀티쓰레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지만 동기화를 고려하지 않는 만큼 단일쓰레드에서의 성능은 StringBuffer 보다 뛰어납니다
- 프로세스란?
-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 하나의 프로세스는 크게 코드영역(code), 데이터 영역(date), 스택 영역(stack), 힙 영역(heap)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스레드란?
- 한 프로세스 내에서 동작되는 여러 실행의 흐름, 프로세스 하나에 자원을 공유하면서 일련의 과정을 여러 개를 동시에 실행 시킬 수 있다.
- 멀티프로세스
- 장점 : 안정성이 높다 (독립된 구조기 때문에)
- 단점 : 여러 프로세스를 왔다갔다 하는 컨텍스트 스위칭으로 인한 성능저하
- 멀티쓰레드
- 장점 : 응답시간 단축, 자원소모 감소
- 단점 : 미묘한 시간차나 변수 공유함으로써 오류 발생 가능
- MVC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MVC 패턴은 Model, View, Controller 이 3가지로 나뉘어 역할을 분할하여 처리한다.
- 역할을 나누어 처리하기 때문에 서로의 결합도가 낮아져서 좋은 코드가 되며 유지보수도 하기 편해진다.
- JPA에서 Entity를 설계할때 주의점을 말해주세요
- Entity에는 가급적 Setter를 사용하지 말 것
- Entity가 영속성이 유지되는 도중 수정되면 그 값은 DB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그런데 Setter를 열어두고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변경 포인트가 많아 유지보수가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 모든 연관관계는 지연로딩으로 설정한다
- 즉시로딩(EAGER)를 사용 할 경우, 어떤 SQL이 나갈지 추적하기 어렵다
- 컬렉션은 필드에서 바로 초기화하자
- Entity는 최대한 순수하게 유지해야한다!!!
- Entity에는 가급적 Setter를 사용하지 말 것
- DTO를 사용하는 이유
- 순환참조를 예방할 수 있다.
- JPA로 개발할 때, 양방향 참조를 사용했다면 순환참조를 조심해야한다.
- 엔티티 내부 구현을 캡슐화 할 수 있다.
- DB Layer와 View Layer 사이의 역할을 분리 하기 위해서다
- 순환참조를 예방할 수 있다.
- N+1 문제에 대해 짧게 설명해주세요
- Lazy 로딩에 의해서 한번에 모든 정보를 안가져와서 발생하는 문제인데 폐치조인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
- SQL 1번으로 100명의 회원을 조회하였는데,한번 SQL을 실행해서 조회된 결과 수만큼 N번 SQL을 추가로 실행한다고 해서 N+1 문제라 한다.
- 각 회원마다 주문한 상품을 추가로 조회하기 위해 100번의 SQL을 추가로 실행하는 상황을 말한다.
- 생성자 injection을 사용한 이유
- 필드 인젝션은 점차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필드의 객체를 수정할 수 없는 필드주입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또한 필드 주입은 반드시 DI 프레임워크가 존재해야 하므로 반드시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 생성자 인젝션은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필요한 빈을 주입한다. 그러므로 순환참조를 해결 할 수 있다. 필드를 final로 선언 가능하다. DI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테스트를 진행 할 수 있다.
- 자바 람다 관련 함수형 프로그래밍
-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명령형이 아닌 선언적 방식으로 구현되며 흐름 제어를 명시적으로 기술하지 않고 프로그램 로직이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람다는 함수의 구조로 되어있고 -> 와 같이 화살표 형태의 기호를 이용해 매개변수를 함수 바디로 전달하는 형태
- 가비지컬렉션이란?
- C/C++ 언어와 달리 자바는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객체를 해제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바 언어의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객체는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작업을 Gargabe Collection(GC)라고 부르며 JVM에서 GC를 수행합니다.
- 자바 컬렉션 List, set, map에 대한 설명
- 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한다.
- 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Map : 키, 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으로, 순서는 유지되지 않으며 키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나 값의 중복은 허용한다.
- 스프링 자세하게 DI에 대한 설명, 생성자 injection이 좋은 이유
- 필드주입을 사용하게 되면 배터리 일체형 핸드폰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setter와 생성자 주입은 분리형으로 볼 수 있어 조금 더 유연하다
- 테스트 코드에 대한 설명??
- 단위테스트를 사용하면 좋은점은 개발 초기에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 ORM에 대한 설명
- ORM이란 객체와 DB테이블이 매핑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즉 객체가 테이블이 되도록 매핑 시켜주는 것을 말함
- ORM을 이용하면 SQL Query가 아닌 직관적인 코드(메서드)로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 JPA 장점, 단점
- JPA란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를 의미한다.
- Hibernate는 JPA라는 명세의 구현체이다.
- 장점
- 생산성 : SQL의 반복작업이 없어진다.
- 유지보수 : 테이블 컬럼 한개가 바뀌면 Mybatis에서는 관련 DAO의 파라미터, 결과 SQL등을 모두 확인하여 수정해주어야한다. JPA는 대신 해준다.
- 단점
- 성능 : 직접 SQL을 호출 하는 것보다 성능이 떨어 질 수 있다.
- 세밀함 : 복잡한 통계 분석 쿼리를 메서드 호출로 처리하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JPA에서 JPQL을 지원한다
- 생성자 주입 사용시 장점
- 순환 참조 방지
- 순환 참조는 A -> B를 참조하면서, B -> A를 참조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
- 생성자 주입은 먼저 빈을 생성하지 않고 주입하려는 빈을 찾는다. 그래서 실행시 바로 순환참조 에러가 뜨면서 찾을 수 있다.
- final 선언이 가능
- 생성자 주입 시, 의존성 주입이 클래스 인스턴스화 중에 시작되므로 final을 선언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를 변경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 테스트 코드 작성 용이
- 스프링 컨테이너 도움 없이 테스트 코드를 더 편리하게 작성 가능
- 순환 참조 방지
- MVC 진행 방식
-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Servlet이 가장 먼저받는다.
- HandlerMapping이 요청 URL과 매핑되는 Controller 검색 후 리턴
- HandlerAdapter에서 알맞은 controller 처리요청
- ViewResolver에서 controller가 리턴한 view 검색후 view를 클라이언트로 보냄
- AOP
-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적인 관점, 부가적인 관점으로 나누어서 보고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 모듈화 하겠다는 것이다.
- 스프링 빈에만 AOP 적용 가능
- 프록시
- 프록시는 타겟을 감싸서 타겟의 요청을 대신 받아주는 랩핑 오브젝트이다.
- 프록시의 단어 자체로는 '대리인'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스프링 AOP에서의 프록시란 말그대로 대리하여 업무를 처리. 함수 호출자는 주요 업무가 아닌 보조 업무를 프록시에게 맡기고, 프록시는 내부적으로 이러한 보조 업무를 처리.
- 필터에 대한 동작 방식
- Interceptor와 Filter는 Servlet 단위에서 실행된다. 반면 AOP는 메소드 앞에 Proxy패턴의 형태로 실행된다.
- spring security
- 스프링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이다.
- 세션-쿠키 방식으로 인증한다.
- jwt
- JWT 방식은 확장성에 큰 강점을 가진다. 만약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 서버를 확장할 때마다 각 서버에 세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특정 서버에서 로그인 인증을 받을 때 다른 서버에서는 로그인을 했는지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OAuth2
- OAuth (OpenID Authentication) 란, 타사의 사이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고 그 권한을 이용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다.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과 같은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면 직접 구현한 사이트에서도 로그인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되는 구조다.
- OAuth2 로그인을 사용한다면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Filter` 대신 `OAuth2LoginAuthenticationFilter` 가 호출되게 해야한다.
- oauth는 세션대신 토큰을 사용하여 인증 진행 (토큰을 또 jwt 토큰으로 바꿔서 사용 많이함)
- JPA, ORM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차이 매꿔주는 이론 정확히 알기
- ORM은 객체와 디비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준다.
- 영속성 컨텍스트란, 영속성 컨텍스트가 있어서 장점
-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EntityManager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Entity를 보관하고 관리
- 영속성 컨텍스트 장점
- 1차캐시 : 1차캐시에서 데이터를 먼저 찾고 없으면 DB에서 찾는다.
- 동일성 보장
- 쓰기 지연 : 트랜잭션을 커밋하기 직전까지 쿼리를 날리지 않고 영속성 컨텍스트에 보관한다.
- 변경 감지 : 스냅샷을 이용하여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된 엔티티는 변경이 일어나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에서 수정된다.
- 지연 로딩 : 실제 객체 대신 프록시 객체를 로딩해두고 해당 객체를 실제 사용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통해 불러오는 방법
- servlet dispacher
- controller로 들어가기 전에 맨 앞에서 모든 요청을 받아서 해당하는 controller로 보내준다.
- 트랜잭션
- 어떤 일련의 작업들은 모두 에러 없이 끝나야 하며,
- 만약 중간에 에러가 발생 한다면, 에러 발생 이전 시점까지 작업되었던 내용은 모두 원상복구 되어야 합니다.
- 객체지향 관점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바라봤을 때 장단점
- 스프링이 지향하는 목적 정의 : POJO 프로그래밍
- POJO(Plain Old Java Object)는 말 그대로 간단한 자바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진정한 POJO란 객체 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오브텍트를 말한다.
- 스프링에 IOC/DI, AOP는 POJO 프로그래밍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면접 CS 정리
반응형
댓글